맨위로가기

생드니 (레위니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드니는 인도양 레위니옹 섬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1669년 건설되어 섬의 수도 역할을 해왔다. 1738년 이후에는 부르봉 식민 정부의 영구적인 위치로 지정되었으며, 1810년 영국에 점령되었다가 1815년 프랑스로 반환되었다. 사탕수수 재배와 설탕 수출을 통해 발전했으며, 19세기에는 도시 개발과 공공 투자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레위니옹의 주요 행정 및 상업 중심지이며,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드니 (레위니옹) - 롤랑 가로스 공항
    롤랑 가로스 공항은 프랑스 레위니옹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에어 오스트랄의 허브 공항이며, 파리, 모리셔스 등지로 운항하며 2018년 247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했다.
  • 레위니옹의 코뮌 - 생피에르 (레위니옹)
    레위니옹 섬 남서부에 위치한 생피에르는 열대 반건조 기후와 꾸준한 인구 성장세를 보이는 코뮌으로, 주요 도로의 기점이며 피에르퐁 공항을 통해 국내외와 연결되어 있고, 모리셔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은 여러 유명 인물을 배출한 도시이다.
  • 레위니옹의 코뮌 - 생루이 (레위니옹)
    생루이는 레위니옹에 위치한 도시로,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생드니 (레위니옹)
지도
레위니옹 생드니 지도
레위니옹 생드니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Sin-Dni
레위니옹 크리올어Sin-Dni
프랑스어 발음sɛ̃ d(ə)ni
전체 프랑스어 발음sɛ̃ d(ə)ni də la ʁeynjɔ̃
영어 발음ˌsæ̃dəˈniː
행정 구역코뮌, 현
위치레위니옹
레위니옹
생드니
캉통4개의 캉통
INSEE 코드97411
우편 번호97400
면적142.79 km²
고도23 m
최소 고도0 m
최대 고도2276 m
인구145,238명
인구 조사 년도2012년
인구 밀도1017명/km²
주민Dionysiens
광역 도시 지역 면적547.8 km²
광역 도시 지역 인구319,141명
광역 도시 지역 인구 조사 년도2021년 1월
공식 웹사이트Ville-saintdenis-reunion.fr
정치
시장에리카 바레츠
소속 정당PS
임기2020년–2026년
지방 자치 단체북부 레위니옹
이미지
벨피에르 고지에서 바라본 도시 전경
벨피에르 고지에서 바라본 도시 전경
바하쇼 해안의 대포
바하쇼 해안의 대포
생드니 대성당
생드니 대성당
도 의회 본부인 팔레 드 라 소스 건물
도 의회 본부인 팔레 드 라 소스 건물
생드니 역사적인 시청 및 승전 기념탑
생드니 역사적인 시청 및 승전 기념탑
레위니옹 자연사 박물관
레위니옹 자연사 박물관
저녁 무렵의 도심과 인도양
저녁 무렵의 도심과 인도양
생드니 레위니옹 깃발
생드니 레위니옹 깃발
생드니 레위니옹 문장
생드니 레위니옹 문장

2. 역사

1513년 포르투갈인 페드루 마스카레냐스(Pedro Mascarenhas)가 당시 무인도였던 레위니옹 섬에 도착했고,[2] 1638년 프랑스가 레위니옹 섬 전체의 영유를 선포했다.[2] 이후 1642년부터 프랑스인의 식민지 개척이 시작되었다.[2] 1669년 레위니옹 섬 초대 총독 에티엔 레뇨(Étienne Regnault)에 의해 생드니가 건설되었으며,[2] 1886년에는 외항인 루폴 항구가 개항하였다.[2]

2. 1. 식민지 시대

생드니는 1669년 부르봉 섬(당시 레위니옹)의 초대 총독인 에티엔 레뇨(Étienne Regnault)에 의해 섬의 북쪽에 설립되었다. 섬 서쪽의 생폴 지역보다 더 크고 비옥한 평원이 정착지 개발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생폴은 서해안의 더 나은 정박지와 바람 조건으로 인해 1663년 부르봉 섬 최초의 프랑스 정착지가 되었었다.[1]

새로운 정착지는 1668년 레위니옹에 상륙했던 레뇨 총독의 친구가 소유한 배의 이름을 따서 생드니라고 명명되었다. 생드니와 생폴은 수년간 부르봉 식민지 수도의 역할을 공유했으며, 총독과 식민 의회는 두 정착지에 번갈아 머물렀다. 1738년 생드니가 부르봉 식민 정부의 영구적인 위치로 선택될 때까지였다.[1]

연도사건
1513년포르투갈인 페드루 마스카레냐스(Pedro Mascarenhas)가 레위니옹 섬(당시 무인도)에 도착하였다.[2]
1638년프랑스가 레위니옹 섬 전체의 영유를 선포하였다.[2]
1642년프랑스인의 식민지 개척이 시작되었다.[2]
1669년레위니옹 섬 초대 총독 에티엔 레뇨(Étienne Regnault)에 의해 생드니가 건설되었다.[2]
1886년외항인 루폴 항구가 개항하였다.[2]


2. 2. 나폴레옹 전쟁과 그 이후

1766년 왕령에 의해 부르봉 섬(Bourbon Island)은 5개의 ''칸통''(quartiers)으로 나뉘었고, 그중 하나가 생드니였다. 토지 측량사 장-바티스트 방크(Jean-Baptiste Bancks, 아일랜드 야곱파 출신으로 알려짐)가 설계한 도시의 바둑판식 계획은 1777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1790년 생드니는 코뮌이 되었다. 초대 시장은 장-바티스트 델레스트라크(Jean-Baptiste Delestrac)였다.[1]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10년 7월 8일, 생드니는 영국군에 점령당했다. 영국은 약 5년 동안 생드니와 섬 전체를 점령했다. 1814년 파리 조약 이후인 1815년 4월 6일, 영국은 생드니의 중앙 광장에서 열린 의식에서 부르봉 섬을 프랑스에 공식적으로 반환했다. 1815년 10월, 나폴레옹의 프랑스 귀환 소식이 인도양에 도착하자, 모리셔스의 영국 함대가 생드니 앞에 나타나 부르봉 섬의 프랑스 총독에게 식민지를 영국 국왕에게 넘길 것을 요구했다. 프랑스 총독은 거부했고, 영국은 섬의 봉쇄를 시작했다. 결국 10월 28일, 나폴레옹의 두 번째 퇴위와 루이 18세의 복위 소식이 전해지면서 영국 함대는 봉쇄를 종료했다.[1]

2. 3. 침체와 회복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9세기,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의 결과로 프랑스는 주요 사탕수수 식민지였던 생도밍그(아이티)와 프랑스 섬(모리셔스)을 잃었다. 이후 사탕수수가 부르봉 섬(Bourbon)에서 주요 작물로 커피를 대체했고, 설탕이 주요 수출품이 되면서 생드니는 다시 한번 발전하게 되었다. 생드니는 유럽으로 설탕을 수출하는 중심지였다.[5]

나폴레옹 전쟁 이후 생드니는 번영기를 맞이하며 도시 개발과 공공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1818년, 부르봉 섬 엘리트들의 자녀들이 중등 교육을 받던 프랑스 섬(모리셔스)의 리세(lycée)가 영국에 합병되자, 부르봉 섬 총독 Pierre Bernard Milius|피에르 베르나르 밀리우스프랑스어는 생드니에 왕립 대학(Collège de Bourbon|부르봉 대학프랑스어) 건설을 시작하여 1819년에 개교했다. 이는 부르봉 섬(1848년 레위니옹 리세로 개명, 1968년 콜레주, 즉 중학교로 변경) 최초의 왕립 대학이었다.
  • 1825년에는 생드니에 법학사를 수여하는 법과대학(''École de Jurisprudence'')이 설립되었다.[5]
  • 1829년에는 생드니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어 1832년에 완공되었다.
  • 1835년에는 로지아와 발코니를 갖춘 생드니 극장이 건설되었으나 1919년 화재로 파괴되었다. 같은 해 ''팔레 레지슬라티프''("입법궁") 건설이 시작되어 1837년에 완공되었으며, 부르봉 섬의 식민 의회(''Conseil colonial'')가 이곳에 자리 잡았다. 이 궁전은 1855년 Muséum d'histoire naturelle de La Réunion|레위니옹 자연사 박물관프랑스어(인도양 최초의 자연사 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
  • 1843년에는 라 레두트에 경마장이 개장했으며(현재 경기장으로 변경),
  • 1846년에는 Hôtel de ville de Saint-Denis|생드니 시청프랑스어 건설이 시작되어 1860년에 개관했다.
  • 1864년에서 1866년 사이에는 철골 구조물인 Grand marché de Saint-Denis|생드니 중앙 시장프랑스어이 건설되었다.[5]


1820년 초, 최초의 콜레라 유행이 생드니를 강타했다. 콜레라는 캘커타에서 모리셔스를 거쳐 생드니로 유입되었으나, 당국의 신속한 대응으로 도시 경계 내에서 억제되어 178명의 사망자만 발생했다.[5]

1841년, 당시 20세였던 시인 샤를 보들레르는 인도 캘커타로 향하던 중 생드니에 상륙하여 45일 동안 부르봉 섬에 머물렀다.[5]

1847년, 폐지론자이자 가톨릭 사도 부제인 알렉상드르 모네가 부르봉 섬으로 돌아오자, 백인 식민지 주민들은 이틀간 시위를 벌였다. Joseph Graëb|조제프 그레브프랑스어 총독은 소요를 막지 않았고, 모네 신부는 15일 후 섬을 떠나야 했다.[5]

1848년 6월, 1848년 2월 프랑스 혁명 소식이 전해진 후, 그레브 총독은 생드니에서 프랑스 공화국 선포를 발표하고 섬 이름을 레위니옹으로 변경했다. 1848년 10월, 공화국 위원 조제프 나폴레옹 세바스티앵 사르다 가리가는 생드니에서 레위니옹 섬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발표했다. 12월에는 생드니 리세 학생들이 공화주의자로 선언된 교장을 상대로 시위를 벌였고, 사르다 가리가 위원은 군대를 동원하고 리세를 폐쇄해야 했다.[5]

1853년, 1848년 노예제 폐지에 따른 보상금의 일부로 Banque de La Réunion|레위니옹 은행프랑스어이 생드니에 설립되었다. 이는 레위니옹 최초의 상업 은행이자 중앙 은행 역할을 했다. 이듬해 생드니에는 저축 은행도 설립되었다.[5]

2. 4. 20세기 중반 이후

1860년대에는 사탕수수 재배가 ''Chilo sacchariphagus'' 해충의 피해를 입었고, 인도에서 노동자를 모집하는 것도 더 어려워졌다(영국 당국이 도입한 제한 때문에). 이는 레위니옹의 사탕수수 산업 위기를 초래했다. 같은 기간에 섬은 여러 차례의 사이클론을 겪었다. 말라리아도 1868년 모리셔스에 상륙한 지 3년 후 레위니옹에 도착했고(두 섬 모두 1860년대 이전에는 말라리아가 없었다), 이 질병은 섬에서 풍토병이 되었다.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과 프랑스의 마다가스카르 식민지화에 대한 관심 증가는 레위니옹을 소외시켰다. 이러한 모든 사건의 결과로 생드니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지속된 침체기를 맞이했다. 도시는 1921년 이후 약간 회복되기 전까지 1870년대부터 1920년대 초까지 공식적으로 인구 감소를 경험했다.[6]

1896년, 레위니옹과 프랑스 최초의 중국 사찰인 찬 사찰(陈宅)이 생드니에 문을 열었다. 이 사찰은 관우와 1860년대와 1870년대에 레위니옹에 중국 노동자로 온 광둥계 가문 중 하나인 찬(陈) 가문의 조상 숭배를 위해 봉헌되었다. 1905년에는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마요트 제외) 누르-이슬람 모스크가 생드니에서 개관되었는데, 이 모스크의 건설은 1850년대에 레위니옹에 온 구자라트 출신 인도인 무슬림 주민들의 여러 요청 후 레위니옹 총독에 의해 1898년에 허가되었다. 생드니 최초의 힌두교 사찰인 காளிகாம்பாள் கோயில்|칼리카ም발 코일ta은 1917년에 개관되었다.[6]

스페인 독감이 1919년 4월과 5월에 생드니를 강타하여 수천 명이 사망했다. 1919년 성주간에만 스페인 독감으로 생드니에서 거의 1,000명이 사망했는데, 당시 생드니의 인구는 24,000명 미만이었다.[6]

무선 전신 서비스는 1923년 바라슈아의 옛 군사 막사에 개설된 무선 전신국과 함께 생드니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최초의 대중 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은 1927년에 방송되었고,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인 라디오 생드니는 1929년에 개국했다.[6]

1940년 6월 프랑스 함락 이후, 영국령에 둘러싸인 남태평양의 프랑스 식민지 총독들이 드골자유 프랑스에 합류하기로 결정한 것과 달리, 총독은 페탱 원수에 대한 충성을 선언하기로 결정했고 모리셔스와의 모든 통신을 단절했다. 영국은 레위니옹에 해상봉쇄를 설치하여 심각한 식량 부족과 배급제로 이어졌다. 총독은 지역 당국이 비시 프랑스 정책을 따르도록 압력을 가했다. 생드니에서는 1941년 2월 시의회가 바라슈아 광장을 페탱 원수 광장으로 개명했다. 1941년 12월 생드니에는 페탱 선전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국가혁명'' 추종자 800명으로 구성된 페탱 원수 경비대도 창설되었다. 동시에 지하 저항 운동이 조직되기 시작했다.[6]

1942년에 촬영된 ''레오파르''호.


비시 프랑스 점령 마다가스카르에 대한 영국 상륙 작전이 성공한 후, 레위니옹 해안선을 방어할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한 오베르 총독은 1942년 9월 27일 생드니를 개방 도시로 선포하고 섬 내륙의 엘 부르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11월 28일, 모리셔스에서 항해하던 자유 프랑스 해군(FNFL) 구축함 ''레오파르''가 생드니 앞바다에 도착하여 아무런 저항 없이 군대를 상륙시켰다. 이 군대는 도시를 점령하고 자유 프랑스 총독을 설치했다. 오베르 총독은 11월 30일 자유 프랑스 총독에게 항복하여 레위니옹 해방을 완료했다. 오베르 총독 시대에 제정된 모든 비시 정책은 1942년 말과 1943년에 폐지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드니는 새로운 인구 증가와 도시 개발 시기를 맞이했다. 1945년 2월, 에어프랑스(Air France)는 파리와 생드니 간 항공 노선을 개설했는데, 이는 레위니옹과 프랑스 본토를 연결하는 최초의 항공 노선이었다. 주 1회 운항되었으며, 생드니에서 파리까지 5일이 걸리고 14번의 경유지를 거쳐야 했다. 1946년 6월에는 생드니 시내 동쪽 6.5km 지점, 인근 코뮌인 생트마리에 새로운 질로 공항(현재 롤랑 가로스 공항, 레위니옹 국제공항)이 개항했다.[6]

1946년 3월, 레위니옹 식민지는 프랑스 해외 주로 바뀌었고, 이는 사회 및 공공 서비스를 프랑스 본토와 점진적으로 일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949년 새로운 DDT 살충제 덕분에 레위니옹에서 시작된 말라리아 근절 캠페인은 4년 만에 말라리아 유병률을 극적으로 감소시켰고, 1967년에는 완전히 근절되었다.[6] 말라리아는 1868년 섬에 상륙한 이후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요인이었으나, 근절되면서 높은 출산율로 인해 섬의 인구는 급증하기 시작했다.[6]

농촌 유출과 결합된 이러한 모든 요인들은 생드니 시의 급속한 확장을 가져왔다. 70년 이상의 침체기를 거친 후, 1954년과 1967년 인구 조사 사이에 도시 인구는 두 배 이상 증가했다.[6]

1964년 12월, 생드니에 레위니옹 최초의 TV 방송국이 개국했는데, 이는 국영 방송국 ORTF(현재 레위니옹 라 프리미에르(Réunion La Première)가 됨)의 지역 방송국이었다. 시내 중심부 근처 바라슈아에 위치한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는 지역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와 제휴한 대학교 캠퍼스는 1964년부터 1970년까지 생드니에 점진적으로 개설되었고, 나중에 1982년 레위니옹 대학교가 되었다. 1967년 8월, 질로 공항 활주로 연장 및 현대화 이후 생드니와 파리 간 최초의 무정차 상업 비행(에어프랑스의 보잉 707 운항)이 시작되었다. 생드니의 새로운 모더니스트 시청은 1970년대에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1979년(1998년과 2015년에도 개최) 최초의 인도양 도서 게임을 개최했다.[6]

1960년대 이후 프랑스 본토의 재정 지원 덕분에 경제 발전과 소득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지역 문화의 서구화와 소비 사회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TV는 흔해졌고, 프랑스 본토 도시들처럼 도시 외곽에는 대형 하이퍼마켓이 등장하여 프랑스 본토에서 수입한 많은 제품을 판매했으며, 자동차 소유가 일반화되면서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도시에서 러시아워에 심각한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 높은 실업률과 높은 생활비(부분적으로 프랑스 본토에서 수입한 상품과 프랑스 정부 공무원들의 높은 급여 때문)는 1946년 레위니옹이 해외 행정부로 전환된 후 도입된 사회 복지 혜택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소비 사회와 수입품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좌절감과 사회적 긴장을 야기했다.[6]

2000년대 생드니 시의 쇼드롱 공공주택 단지


1991년, 당국이 불법으로 B급 영화(특히 액션 영화와 에로 영화)와 레위니옹 크레올어 토크쇼를 방영하던 TV 방송국의 방송 중단을 결정하면서 이러한 사회적 긴장이 폭발했다. 저소득층에게 특히 인기가 많았던 이 방송국은 4년 이상 생드니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무허가로 방송을 해왔다. 프랑스 전자 미디어 규제 기관인 CSA가 방송 중단을 명령하자, 설립자이자 소유주의 선동으로 시청자들의 항의가 있었지만, 프랑스 정부는 레위니옹 지방장관에게 1991년 2월 24일 TV 방송국의 송신기를 압수하라고 지시했다. 방송 중단 후 도시 전역에서 한 달 동안 폭동이 발생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건설된 쇼드롱 대규모 주택 단지가 그 중심이었다.[6]

3. 지리

인공위성에서 본 생드니


생드니는 인도양 남서부, 마다가스카르섬 동쪽 약 680km에 위치한 칼데라형 화산섬 레위니옹섬의 북쪽 해안, 생드니강 하구에 있는 도시이다. 원래 레위니옹의 주요 항구였으나, 예측 불가능한 바람과 조류 때문에 1880년대에 북서쪽 해안의 르포르에 인공 항구가 생기면서 그 역할을 대체하였다.[7] 남서쪽 약 10km에 있는 르포르는 인도양의 거친 파도 때문에 화물 적재가 어려워 급하게 건설된 생드니의 외항이었으나, 현재는 주요 항구의 지위를 빼앗겼다.

이곳은 행정 및 상업 중심지로, 사탕수수, 카사바, 담배, 바닐라, 제라늄 등의 집산 및 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평균 기온이 24℃로 따뜻하여 농업이 활발하며, 주로 사탕수수를 생산하고 있다.

3. 1. 지역 구분

이 도시는 섬의 북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과거 항구 도시였다. 생드니는 "원래 레위니옹의 주요 항구였으나, 예측 불가능한 바람과 조류 때문에 1880년대에 북서쪽 해안의 르 포르에 인공 항구가 생기면서 그 역할을 대체하였다."[7] 이 도시는 섬의 산악 지대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안선의 해발 0m에서 시작하는 도시 지역 내 최고 해발 고도는 2276m에 달한다.[7]

이 도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지역으로 나뉜다.

  • 르 바라슈아
  • 벨피에르
  • 부아드네플
  • 라 브레타뉴(르 세르프)
  • 르 브뤼레
  • 레 카멜리아
  • 센터빌
  • 샹플뢰리
  • 라 몽타뉴(르 콜로라도, 뤼소 블랑, 생베르나르)
  • 몽가야르
  • 라 프로비당스
  • 라 리비에르 생드니(라 레두트)
  • 뤼소 데 누아르
  • 생프랑수아
  • 생자크
  • 생클로티르(르 부토르, 르 쇼드롱, 꼼뮌 프리마, 도멩조, 르 무피아)
  • 라 수르스
  • 라 트리니테
  • 보방

4. 기후

생드니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몬순 기후(Am)에 속하며, 두 가지 뚜렷한 계절을 보인다. 12월부터 4월까지는 덥고 습한 우기이며, 나머지 7개월은 매우 따뜻하고 습도가 낮은 건기이다. 특히 6월부터 10월까지는 건기로 분류되는데, 이 시기에는 비교적 가벼운 비가 내리지만 열대우림 기후만큼 습하지는 않다. 우기에는 열대성 사이클론(열대성 저기압)이 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28]

다음은 생드니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생드니 (롤랑 가로스 공항) 기후 데이터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53년~현재)[2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5.2°C34°C33.1°C32.7°C30.6°C29.9°C29°C28.2°C29.2°C30.5°C31.8°C34.5°C35.2°C
평균 최고 기온 (°C)30.2°C30.3°C30°C29.2°C27.6°C26.2°C25.4°C25.5°C26°C27°C28.3°C29.5°C27.9°C
평균 기온 (°C)26.9°C27°C26.6°C25.8°C24.2°C22.6°C21.8°C21.9°C22.4°C23.5°C24.7°C26.1°C24.5°C
평균 최저 기온 (°C)23.6°C23.7°C23.3°C22.3°C20.7°C19.1°C18.2°C18.2°C18.7°C19.9°C21.1°C22.7°C21°C
최저 기온 기록 (°C)18.2°C18.6°C18.4°C15.6°C15.3°C13.6°C12.9°C12.8°C13°C13.4°C15°C17.8°C12.8°C
강수량 (mm)270.2mm279.3mm264.5mm133.4mm95.8mm66.9mm50.9mm54.8mm48.5mm43.3mm62.5mm160.2mm1530.3mm
평균 강수일수 (≥ 1 mm)13.813.513.510.99.67.58.58.87.56.96.110.2116.8
평균 일조시간218.1195.5215.0216.1213.9210.0222.4216.2210.5210.8212.0226.82567.1



생드니 La Salle Saint-Michel|생미셸 중학교프랑스어 기후 데이터 (고도 36m, 1981–2010년 평균, 극값 1997–2016)[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3.3°C35°C33.3°C31.8°C32°C28.5°C29.8°C28.4°C27.7°C29.8°C31.2°C33.2°C35°C
평균 최고 기온 (°C)29.8°C30.2°C29.9°C28.9°C27.4°C25.8°C24.8°C24.7°C25.2°C25.9°C27°C28.5°C27.3°C
평균 기온 (°C)27.2°C27.5°C27.1°C26.2°C24.7°C23°C22°C22°C22.5°C23.2°C24.5°C26°C24.6°C
평균 최저 기온 (°C)24.6°C24.8°C24.4°C23.5°C22°C20.2°C19.2°C19.2°C19.7°C20.6°C22°C23.5°C22°C
최저 기온 기록 (°C)21.5°C21.7°C21°C19°C17.7°C16.8°C16.4°C15.9°C16.6°C16.3°C18.3°C19.9°C15.9°C
강수량 (mm)250.7mm312.6mm183.5mm109.6mm82.2mm40.4mm37.4mm36.1mm50.8mm28.6mm68.1mm147.4mm1347.4mm
평균 강수일수 (≥ 1.0 mm)12.412.911.07.98.54.25.35.17.24.54.98.492.1



생드니 (르 브륀 - 발 플뢰리 SAPC, 고도 1069m, 1991–2020년 평균, 극값 1969–2004)[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29.8°C29.7°C28.6°C28.7°C27°C24.6°C25.3°C24.5°C24.5°C25.7°C27.3°C29.2°C
최저 기온 기록 (°C)11.2°C11.5°C10.2°C9.8°C6°C4.6°C4.5°C4.7°C4°C5.6°C7°C8°C
평균 최고 기온 (°C)24.4°C24.4°C24.4°C23.8°C21.9°C20.1°C19.4°C19.2°C19.4°C20.1°C21.4°C23.1°C21.8°C
평균 기온 (°C)20.2°C20.4°C20.1°C19.1°C17.3°C15.2°C14.4°C14.4°C14.7°C15.7°C16.9°C18.9°C17.3°C
평균 최저 기온 (°C)16°C16.3°C15.7°C14.4°C12.6°C10.4°C9.4°C9.6°C10°C11.2°C12.5°C14.7°C12.7°C
강수량 (mm)509.7mm540.8mm431.8mm165.3mm134.3mm71.7mm59.9mm72.5mm79.8mm81.9mm122.4mm273.6mm2543.7mm
평균 강수일수 (≥ 1.0 mm)18.916.214.912.110.07.37.98.19.29.811.414.4140.2


5. 인구

생드니는 프랑스의 해외 주 중 가장 인구가 많은 코뮌(commune)이다. 생드니의 인구는 1954년 이후 코뮌과 광역권 모두에서 크게 증가했다. 1954년부터 2021년 인구 조사까지 67년 동안 인구는 3배 이상 증가했다. 인구 증가율은 20세기에 비해 21세기에 더 낮았다.[27]

생드니 코뮌의 역사적 인구[11][12][13][14][4]
연도인구
187232,452
187732,050
188130,835
188730,035
189228,759
189728,387
190227,392
190725,689
191123,972
192121,538
192623,390
193126,807
193630,762
194132,637
194635,971
195441,863
196165,275
196785,444
1974103,512
1982109,072
1990121,999
1999131,557
2010145,022
2015146,985
2021154,765



생드니 광역권의 역사적 인구[15][3]
연도인구
195486,267
1961117,345
1967146,215
1974173,346
1982187,541
1990215,970
1999251,044
2010293,447
2015304,178
2021319,141



2015년 인구 조사 기준 생드니 광역권 거주자 304,178명의 출생지는 다음과 같다.[16]

2015년 생드니 광역권 거주민 출생지
출생지비율
레위니옹81.1%
프랑스 본토11.1%
마요트1.1%
기타 프랑스 해외 영토0.3%
외국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연방, 모리셔스 등)6.4%


6. 교통

가장 가까운 공항은 생드니에서 동쪽으로 7km 떨어진 생트마리에 있는 롤랑 가로스 공항이며, 레위니옹의 주요 국제공항이기도 하다.[17] 에어 오스트랄이 지역 항공사이며, 이 공항에 인도양 허브를 두고 있다. 에어 오스트랄은 프랑스 본토의 일부 도시로 운항을 시작했다. 다른 5~6개의 항공사도 이 공항을 이용하고 있다.[17] 생드니에는 좋은 도로망이 있다.

2022년 3월 15일, '''파팡'''이라는 이름의 케이블카가 운영을 시작했는데, 르 쇼드롱과 보아드네플 지역 사이에 5개의 역을 연결하는 약 2.7km 구간을 운행한다.[17] 생드니와 외항 루포르 사이에는 포장 도로가 깔려 있으며, 루포르에서는 마다가스카르프랑스로 정기 항로가 있다. 생드니 동쪽 약 10km 거리에 있는 생마리의 롤랑 가로스 공항에는 파리로 가는 정기편이 있다.[17]

7. 경제

IBM은 생드니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22] 레위니옹 섬은 인근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한 디지털 허브가 되기 위해 조직화를 시작했으며, 두 개의 해저 케이블을 통해 양호한 인터넷 연결에 의존하고 있다.[23] 서비스의 잠재력은 현재 사탕수수(농산물)에 의존하는 섬의 경제를 변화시킬 것이다. 생드니의 대학교는 젊은 세대에게 디지털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3] 항공사의 소프트웨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사업체들이 설립되고 있다.[23]

레위니옹의 행정 및 상업 중심지로, 사탕수수, 카사바, 담배, 바닐라, 제라늄 등의 집산 및 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평균 기온이 24°C로 따뜻하여 농업이 활발하며, 주로 사탕수수를 생산하고 있다.

8. 교육

레위니옹 대학교는 생드니에 6개의 캠퍼스를 두고 매년 1만 5천 명의 학생을 입학시킨다.[20] 교육 과정은 유럽 대학 교육 표준에 맞춰져 있으며, 공과대학도 있다. 강의 언어는 프랑스어이며, 유럽 대륙의 프랑스 교육 기관과 연계되어 있다.

생드니 시는 각 지역마다 여러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21]

9. 문화


  • 레옹 디에르 박물관 (미술관 및 박물관)
  • 국립 정원 (공원 – 자연사 박물관 포함)
  • 바라슈아 해변 공원
  • 라 로슈 에크리트 (도시 남쪽 15km), 생드니를 내려다보는 정상으로 도시의 멋진 전망을 제공한다.
  • 부르봉 양조장

10. 종교

주요 예배 장소는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다. 로마 가톨릭 생드니 드 라 레위니옹 교구(천주교), 오순절교회 등이 있다.[19] 이슬람교 사원도 있다.

11. 자매 도시

생드니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2020-12-02
[2] 웹사이트 Comparateur de territoire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de Saint-Denis (9D1) https://www.insee.fr[...] INSEE 2022-05-13
[3]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France par aire d'attraction des villes,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2021 https://statistiques[...] INSEE 2024-10-05
[4]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024-10-06
[5] 서적 Rapport au Conseil supérieur de santé sur le choléra-morbus pestilentiel https://books.google[...] 2022-05-15
[6] 웹사이트 Elimination of malaria on the island of Reunion: 40 years on https://globalhealth[...] 2022-05-26
[7] 백과사전 Saint-Denis https://www.britanni[...] 2019-07-07
[8] 웹사이트 Statistiques 1991−2020 et records GILLOT−AEROPORT (974)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22-09-07
[9] 웹사이트 climate of Saint-Denis College 1981-2010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6-02
[10] 웹사이트 Fiche Climatologique Statistiques 1991-2020 et records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8-30
[11] 서적 Annuaire de l'île de la Réunion https://gallica.bnf.[...] 2022-05-13
[12] 서적 Recueil des actes organiques des colonies https://books.google[...] 2022-05-13
[13] 서적 Résultats statistiques du recensement général de la population des départements d'outre-mer, effectué le 1er juillet 1954: Réunion https://books.google[...] 2022-05-13
[14] 서적 Statistiques et indicateurs économiques https://books.google[...] 2022-05-13
[15]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Saint-Denis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 Population municipale (historique depuis 1876) https://statistiques[...] 2022-05-13
[16]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2015 - Individus localisés au canton-ou-ville en 2015 https://www.insee.fr[...] INSEE 2019-02-03
[17] 웹사이트 Un premier téléphérique urbain entre en service à La Réunion https://www.lesechos[...] 2022-03-29
[18] 웹사이트 Résultats du premier tour et second tour des élections à Saint-Denis https://www.lemonde.[...] 2020-09-08
[19] 백과사전 Réun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01
[20] 웹사이트 University of Reunion Island https://www.univ-reu[...] 2019-06-14
[21] 웹사이트 L'école https://www.saintden[...] Commune of Saint Denis 2020-10-09
[22] 웹사이트 IBM Réunion http://www.ibm.com/p[...] IBM 2009-10-21
[23] 뉴스 How Reunion Is Reinventing Itself As A Digital Hub https://www.forbes.c[...] 2019-06-14
[24] 웹사이트 Villes jumelées avec la Ville de Nice https://web.archive.[...] Ville de Nice 2013-06-24
[25] 웹사이트 Données climatiques de la station de Gillot-Aeroport http://www.meteofran[...] Meteo France
[26] 웹사이트 Climat La Réunion http://www.meteofran[...] Meteo France
[27] 웹사이트 Populations communales de 1876 à 2018 https://www.insee.fr[...] INSEE
[28] 웹사이트 Statistiques 1991−2020 et records GILLOT−AEROPORT (974) https://donneespubli[...] 프랑스 기상청 2022-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